블로그 이미지
DreambigHouse
"글로벌커뮤니티플랜"의 일환으로 "다 같이 잘 살아가는 세상"을 추구하는 그 꿈을 소망합니다. 크게 꿈꾸는 집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DreamBig! ActBig!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Tag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78

  1. 2016.04.14 Little Prince Heejung Park
  2. 2016.04.14 A rainy day...
  3. 2016.04.07 April 6th, 2016
  4. 2016.04.06 Dear President Ann Weaver Hart,
  5. 2016.04.06 April 2nd
  6. 2016.04.06 April 1st
  7. 2016.04.06 April 3rd
  8. 2016.04.06 April 4th
  9. 2016.04.06 April 5th
  10. 2012.05.10 이성과 자유 그리고 양심에게 묻는다 - 못다한 이야기
  11. 2012.05.10 [한겨레신문 사설칼럼] 이성과 자유 그리고 양심에게 묻는다 - 입양의 날 맞아
  12. 2012.04.29 박희정- 동아일보 오피니언기고
  13. 2012.04.29 나는 꿈을 실험한다 - 박희정 (문예춘추사 출판사)
  14. 2012.04.29 사랑으로...
  15. 2011.02.06 11. 미국생활 다섯달 째! -DreamBigHOUSE-2
  16. 2010.12.29 10. On Interculturalism -DreambigHOUSE-
  17. 2010.12.29 9. 나는 청년 독수리 -DreambigHOUSE-4
  18. 2010.12.29 8. 석 달을 보내며 -DreambigHOUSE-
  19. 2010.11.02 7. 또 연단 또 단련 -DreamBigHOUSE-
  20. 2010.10.20 6. 아이러니한 재미 -DreamBigHOUSE-
  21. 2010.10.20 5. 딴 세상 사람 -DreamBigHOUSE-
  22. 2010.10.20 4. 10월 9일 생일날 -DreamBigHOUSE-2
  23. 2010.10.08 하나님, 우리가 하나 되게 하소서
  24. 2010.10.08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25. 2010.10.08 3. 미국에 온지 한 달 - DreamBigHOUSE-
  26. 2010.09.30 미국 의대 정보 (워싱턴 대학 의대 중심으로)
  27. 2010.09.30 2. 세인트루이스 이야기 - DreamBigHOUSE
  28. 2010.09.29 1. 세인트루이스에서 인사드립니다. (미국 입국 소식) -DreamBigHOUSE-
  29. 2010.04.01 2010년 04월 선정도서
  30. 2010.04.01 상처로부터의 자유 - 큰꿈 -

In spring, I can see life from the green leaves of trees, from the sprouts of plants, and from the buds of flowers. Now I see life and hear the voice of life. The color of green is energy. The energy is life. Therefore, spring is life. Now, life is everywhere which is precious enough. Now I talk with the lives. Hello dear. 


Now, in spring, I see the voice of life and also see the little prince Heejung Park at 3 or 4 years old returning back to the old times. And I see heaven. 


"I tell you the truth, unless you change and become like little children,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


Lord, reverse me, especially my depraved eyes in pursuit of earthly greed and outer appearance, not inner beauty. Restore us from earthly temptation, despair, wounds, sickness, and death. 


Now, I can see the voice of spring, little prince Heejung Park, and heaven in my mind when I look at these little wild flowers which have endured and survived the a freezing winter like death.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rainy day...  (0) 2016.04.14
April 6th, 2016  (0) 2016.04.07
April 2nd  (0) 2016.04.06
April 1st  (0) 2016.04.06
April 3rd  (0) 2016.04.06
posted by DreambigHouse

I like rain and rainy days. On a rainy day, I am accustomed to visit a quiet and cozy coffee shop and sit near the window. I feel pleasant and elect to be deep in thought. Sitting near or next to windows, I enjoy listening to the music flowing from the shop, watching people outside, being absent-minded, and also writing something I've been thinking about deeply. I feel a bit melancholy and enjoy this, a kind of solitude, as well, by giving thanks for what I have and have done as a creature of Earth.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ttle Prince Heejung Park  (0) 2016.04.14
April 6th, 2016  (0) 2016.04.07
April 2nd  (0) 2016.04.06
April 1st  (0) 2016.04.06
April 3rd  (0) 2016.04.06
posted by DreambigHouse

The windshield of the car is fully covered with flower pollen again. In April, we frequently see pollen accumulated on the windshields of cars.


My friend's car has a problem with its lights. Especially during the night when people are sleeping, the lights turn on automatically. That was the main reason why the battery of her car was discharged. It seems her car was sleepwalking.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ttle Prince Heejung Park  (0) 2016.04.14
A rainy day...  (0) 2016.04.14
April 2nd  (0) 2016.04.06
April 1st  (0) 2016.04.06
April 3rd  (0) 2016.04.06
posted by DreambigHouse
2016. 4. 6. 10:21 카테고리 없음
Dear President Ann Weaver Hart, 

Dear President AWH,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kind response. Even though I studied a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and Duke University for Master’s degrees, I have never attended such a wonderfully inclusive institution as the University of Arizona. As a student and a consumer of education, I also appreciate your commitment to diversity.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share my recent article about international trends in education, particularly as related to the humanities and community involvement. This is the website for my article (http://www.koreatimes.co.kr/www/news/opinon/2016/03/162_199799.html) and I have also attached it. In fact, my article was inspired by your November email last year entitled ‘Commitment to respect and equity.’ 

Secondly, I would like to make a suggestion about improving the University. I suggest a peer evaluation (peer review) system for students. Since I have studied here for one semester, I have met many good students who are not only diligent, passionate and positive, but also care for others. Even though their grades are not good, they are an example of good character. Students know more than their professors about these kinds of endeavors. I suggest that peer evaluation be part of the grade too (or distinction marks). This relates to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recent project ‘Turning the Tide-Inspiring Concern for Others and the Common Good through College Admission.’ I have also attached this. 

Thirdly, I often go to University’s recreation center and I think it is very nice. All the workers there are really kind and responsible for their job. At midnight, after they close, they usually start to clean the machines and mats. I saw that they were cleaning them diligently and meticulously. I was moved by their professionalism. I would like to pay them compliments as a rec center user. In light of this, I am sure that the University also stresses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not only for sports fair play but also ‘sound mind sound body’ like what Eton College considers important. But whenever I get there, the smell from the urinals makes me uncomfortable and worried about hygiene. The rec center will be better if it has better sanitation. (There were no comment papers for a comment box in the rec center for a few months so I couldn’t suggest this directly to them.) Again, our rec center is really nice. I love it. 

Fourthly, The University of Arizona will be a better school if students guard against sexual misconduct including lascivious/lewd jokes or expressions. I have experienced some students that did not know the line of appropriateness in jokes and conduct—not only Americans but also international students. I think other schools are also struggling with sexual misconduct like as described in this article (http://www.nytimes.com/2016/03/30/us/colleges-beef-up-bureaucracies-to-deal-with-sexual-misconduct.html).

Finally, I am interested in publishing a manuscript that addresses these issues (common good) as well as social entrepreneurship in more depth. It also draws upon the importance of community responsibilities in education, recently called for by the Harvard Report in the statement “not just for brain, but heart for world.” As a student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I am sure that this publication would be contributing to the school too.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provide me with any tips or resources for the publication process. 

Sincerely, 


posted by DreambigHouse

I love yellow dandelions because they survive anywhere and remind me of the marvels of life.


A beautiful day with an iced Americano and a double shot espress

Can I get an iced Americano and can you leave room for soy milk?(Can I get an iced Americano with room for soy milk?)

Can I get a double shot espresso in a big cup so that I can put in a little bit of soy milk?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rainy day...  (0) 2016.04.14
April 6th, 2016  (0) 2016.04.07
April 1st  (0) 2016.04.06
April 3rd  (0) 2016.04.06
April 4th  (0) 2016.04.06
posted by DreambigHouse

Dear Dean J, 


Thank you for your Bible verse present for me last Friday. I am keeping it in my chest pocket all the time and trying to memorize the words. I promise that I will memorize the words and drop by your office to check my recitation. Again, thanks and I will see you soon.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ril 6th, 2016  (0) 2016.04.07
April 2nd  (0) 2016.04.06
April 3rd  (0) 2016.04.06
April 4th  (0) 2016.04.06
April 5th  (0) 2016.04.06
posted by DreambigHouse

A baby stroller for twins was parked in a bicycle parking lot.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ril 2nd  (0) 2016.04.06
April 1st  (0) 2016.04.06
April 4th  (0) 2016.04.06
April 5th  (0) 2016.04.06
11. 미국생활 다섯달 째! -DreamBigHOUSE-  (2) 2011.02.06
posted by DreambigHouse

I have never seen any raven here in T. It's April 4th today–"double four" day. Number four stands for death in the Chinese character in Korea. Of course, number seven stands for luck. In Korea, there is a superstition about the bird covered in all black color, the raven. The superstition says that the raven brings an ominous event, especially death. 


I have lots of readings for my classes/work/... and the final exams/projects.. are approaching. We have only less than a month left. But people work harder when there is a fire in their own backyards.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ril 1st  (0) 2016.04.06
April 3rd  (0) 2016.04.06
April 5th  (0) 2016.04.06
11. 미국생활 다섯달 째! -DreamBigHOUSE-  (2) 2011.02.06
10. On Interculturalism -DreambigHOUSE-  (0) 2010.12.29
posted by DreambigHouse

It's April 5th today, which is Arbor day in Korea. We need to plant a tree not only for Arbor day but also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 


It is a really beautiful day today. It's around 85 degrees. The weather forecast says that it will be 91 or 92 degrees tomorrow. I love this weather, but the problem is that flowers' pollen make us allergic and sick sometimes. Without the pollen, it would be perfect.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ril 3rd  (0) 2016.04.06
April 4th  (0) 2016.04.06
11. 미국생활 다섯달 째! -DreamBigHOUSE-  (2) 2011.02.06
10. On Interculturalism -DreambigHOUSE-  (0) 2010.12.29
9. 나는 청년 독수리 -DreambigHOUSE-  (4) 2010.12.29
posted by DreambigHouse
2012. 5. 10. 16:40 큰꿈이 보는 세상

제목: 이성과 자유 그리고 양심에게 묻는다.

-       입양의 날 

여기 미국에서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Law & Order라는 드라마를 보다가, 입양 및 아동인권과 연관된 주제를 다룬 적이 있는데 그 내용이 충격적이었다. 대부분 실재 내용을 바탕으로 꾸민 법 관련 드라마이다. 벌써 몇 년 째 인기를 얻으며 계속 방영되고 있다. 한번은 남자 아이와 중년 아저씨의 사랑이란 주제로, NAMbLA(North America Man/boy Love Association)를 중심으로 다룬 적이 있었다. 한 때 미국 전역에 회원을 둔 이 단체는 1978년에 설립되어 1987년에 해체되었지만 1995년에는 암암리에 1100명의 회원들이 활동하는 것이 포착된 바 있다. 2005년에 한 신문에 따르면 뉴욕과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본 단체는 매달 정기모임과 연례컨퍼런스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드라마 속의 어린아이는 7-8살의 초등학생 1-2학년으로 어머니와 함께 가난의 덫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채 보호시설(shelter)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그런데 현재 남편의 도움으로 그 지긋지긋한 보호시설을 벗어나 이제 사람답게 살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날 아내는 아들의 몸에 난 상처를 보면서 또래의 짓궂은 장난이라 오해하며 동급학생의 학무모와 언쟁이 붙고, 그러다 우연히 자신의 아들이 누군가에게 성폭행을 당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면서 그것은 다름아닌 자신을 가난에서 벗어나게 해준 남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이야기에서 쟁점이 되는 사안은 동성연애, 가난, 입양, 아동인권 등이다. 보호시설에 있는 절박한 상태에 놓여있는 한 여자와 아이를, 그 가난의 궁박한 상태를 이용한 경우이다. 선이라는 인권이라는 이름의 탈을 쓰고 가난이라는 그 궁박한 상태를 이용해서 자신의 욕구와 욕망을 채우는 것을 비난한 드라마였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에인권이라는 이름으로 자행하는 보이지 않는 악에 대한 경고를 하는 드라마였다. 드라마의 그 어린 남자아이는 온몸이 멍이 들고 상처가 나고 그리고 항문이 파열되었는데도 아무에게 말할 수가 없었다. 친 어머니가 그 이유를 물어오면 거짓말로 핑계를 댈 뿐이다. 그 이유는 만약에 사실대로 자신의 양 아버지가 성폭행했다는 사실을 말하면, 분명 다시 그 지긋지긋한 보호시설로 가야하기 때문에 차라리 죽으면 죽었지 그 보호시설로는 절대 갈 수 없다고 그 아이는 말하고 있다.

최근 인터넷입양이 우리 사회의 입양의식과 궁박한 미혼모를 향한 양부모의 편리함과 합리화라는 유혹으로 법을 피한 새로운 사각지대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것이 더욱 무섭고 위험한 것은 더 큰 사회적 혼란과 범죄를 만들어 낼 수단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벌써 계획적으로 미혼모들에게 접근하여 암암리에 아이를 매매토록 유혹하며 브로커까지 생겨 수수료를 챙기는 것에 단속기준이나 처벌조항도 없어 음성적 비즈니스로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미혼모가 낳은 아이가 54만명에 이른 것으로 추정하고 그 중 약 14만 명만 직접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 걸로 봐서, 벌써 상당수가 인터넷입양 등의 음성입양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1953년 한국 전쟁이 끝나자마자 폐허의 땅 한국은 참 가난했다. 그래서 정부는 굶어 죽어가고 있는 아이들을 해외로 보내서라도 살려내자는 의도에서 고아와 굶어 죽어가는 아이들을 국가정책적으로 해외로 보냈다. 절대적인 가난으로 아이들이 굵어 죽어가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 그렇게 시작된 정부의 입양정책이 지금까지 큰 변화없이 아직까지 매년 1000명의 아이들을 해외로 입양보내고 있다. 800배의 경제성장을 하고 일인당 GDP 2만 불이 넘었으며, OECD 가입국이 되어 남의 나라의 도움을 받던 지위에서 이제는 개도국을 도와주는 나라가 되었는데도 아직도 많은 아이들이 입양되고 있다.

1970년 대까지의 경우 절대적인 가난이 입양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다면, 이제는 소득불균형과 상대적인 가난으로 미혼모들이 아이들을 키울 수 없는 이유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물론 한국 사회의 입양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과 미혼모들이 아이를 키우는 것에 대한 한국사회의 따가운 시선 등 한국인의 의식과도 연관이 있는 부분이나, 그 뿌리를 보면 그래도 가난 즉 재정적인 이유가 그 중심에 있다. 아이는 힘들더라도 생모 품에서 자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많은 연구결과가 있다. 국내에서 입양 가족을 먼저 찾고 그래도 안 되는 경우 즉 심한 장애와 친부모의 사망 등에 가늠하는 이유로 빨리 가정을 만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라야 해외로 입양시키도록입양에 관한 국제법은 규정하고 있다.

사실 나는 입양단체를 돕고 한국에 있는 입양인들과 같이 먹고자고 생활하기도하면서 지금까지 10년간 인연을 맺어오고 있다. 수많은 가슴 아픈 이야기와 감동적인 순간을 경험하며 함께 울었다. 언어장애와 양부모와의 불화 그리고 사회부적응과 비행으로 형사 처벌되어 한국으로 추방된 경우까지 다양하다. 언론에 소개되는 끔찍한 사건으로는 양부모로부터 폭행당하고 살해당하는 경우 그리고 이와 반대로 양부모를 폭행하고 살해하는 경우이다. 스웨덴 정부에서는 또래의 현지 청소년과 비교해서 한국에서 입양되어온 청소년의 마약 폭행 및 비행률이 3-4배 여성의 경우 5배 이상 높고 자살률도 2-3배나 높다고 연구자료를 발표한 적이 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숫자가 그렇다는 것이 문제다.

입양의 문제를 찬성반대로만 따진다거나 입양사후관리로만 해결 할 수 있는 것만도 아니다. 그러나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세계인권보고서로부터 우리 정부에 보내온 권고안의 핵심인 입양에 관한 규제 및 감독을 위임받은 정부기관을 만들어 보다 적극적으로 국내외 입양을 관할하며 입양사후관리를 전담하고 음성입양을 처벌하는 조항을 만드는 등 큰 역할을 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입양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이 무엇이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그 원인을 찾는데 무엇보다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올해 보건복지부 통계는 적어도 나에겐 충격적이었다. 국내입양인 총 1548명 중에 1452(전체의 93.8%), 해외입양의 경우 총 916명 중에 810(88.4%)가 미혼모의 아이들이었다. 특히 자신의 아이를 해외로 입양보낸 미혼모의 경우 총 810명 중에 무직이 526(6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학생이 120(15%)이었다. 학생의 경우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거의 반반을 차지했다. 전체 미혼모 중 20세 이상 미혼모가 544(67.2%)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15-20세 미만이 263(32.5%)을 차지했다. 통계자료만 얼핏봐도 해외로 자신의 아이를 입양보낸 무직 미혼모가 전체의 65%를 차지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건복지부 2012 2월 통계


가난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또 다른 가난을 만들어내고 또 다른 비극을 만들어 낸다. 우리는 이를 가난의 악순환이라고 부른다. 입양의 경우에 있어서도 똑같이 가난의 악순환의 모습이 보여진다. 내가 한국에서 입양기관에서 일하면서 입양인들과 미혼모들의 실태 및 사후관리 입법에 대해 연구하는 일에 참여한 적이 있다. 올해 해외입양의 약 94%는 미혼모의 아이들이다. 미혼모들은 자신이 임신한 것을 대부분 숨기며 시설에서 몰래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혼모가 아이를 낳을 때까지 머무를 수 있는 시설은 25곳이 있다. 그런데 그 25곳 중에서 17곳이 입양기관에 의해서 운영되는데, 그런 시설에서 머무를려면 먼저 아이를 입양시키겠다고 약속을 해야 머무를 수 있다. , 미혼모들은 양육권을 포기하겠다는 각서를 쓰고서 그곳에 머무를 수 있다. 특히 재정적으로 궁박한 미혼모들의 양육권을 포기하게 만드는 것과 함께 입양기관의 욕심도 의심이 간다. 입양기관에서 아이를 국내 부모에게 입양을 보내는 경우에는 200만원 정도의 소개비를 받는 반면, 해외로 아이를 입양보내는 경우에는 2000만원에 가까운 소개비를 받는다.


입양기관 홀트인터네셔널 (www.holtinternational.org, Adoption Fees Overview)    


2004년 세계한인입양인대회에서 고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내가 여러분에게 사랑한다고 말할 자격은 없지만, 그래도 사랑한다고 말해야겠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입양인들의 눈시울을 적시게 한 행사가 떠오른다. 스웨덴 한국입양인 토비아스(한국명 이삼돌)박사가 해외입양을 결사 반대하며, 입양기관의 해외입양은 입양비지니스라는 말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토비아스 박사가 사는 스웨덴으로 아직도 미국 다음으로 두번째로 많은 한국입양인이 보내지고 있다.

해외입양에 대한 접근은 가난이라는 큰 범주에서 접근해야하며 사회적 약자인 미혼모와 저소득층의 문제가 해결될 때라야 비로소 입양의 문제와 입양인들의 인권 문제에도 해결의 방향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미혼모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함께 복지의 확충 그리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함께 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가난이란 것이 한 부분으로만 해결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교육, 인프라, 복지, 제도와 법, 사회적 인식 등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이유이다. 지금은 국제사법재판소(ICC) 소장님이신 나의 멘토 송상현 교수님이 한번은 세계은행 행사 기조연설 때 발표하신 자료를 보내주신 적이 있다. 그 자료는 교수님의 아이디어로 궁지에 몰린 빈곤퇴치 프로젝트에 활기를 불어넣고 개발의 명쾌한 방향을 제시한 사법과 개발이 상호협력함으로 개발을 이루어낸다는 것이 핵심이다. 인권, 민주주의, 거버넌스 및 사법이 “ICC 피해자 참여와 펀드조성등과 함께 국제형사재판소(ICC)의 개입으로 빈곤퇴치와 자립을 돕자는 것이 모토이다.

세계은행과 UNDP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아직도 전 세계 1억의 빈곤층이 하루에 1달러로 살아가고 있으며 40억이 빈곤층(BOP; Bottom of the Pyramid)에 해당한다는 통계가 있다. 과학과 문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시대가 바뀌었다. 우리는 지금 예전과는 완전히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다른 시대에서 인권이라는 이름으로 자기의 편익과 욕망을 채우는 사람들도 있다. 인권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욕망을 채우고, 그 욕망이 성폭행과 성추행만이 아니라, 없는 것에 대한 대리만족 및 자기 이익에 무게를 두고 아이들을 잘못된 위치로 옮기는 데 따르는 혼란과 더불어, 아이가 아니라 자신의 필요에 의한 입양이라면, 곱씹고 인권의 본질에 대해서 다시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부부의 날, 가정의 날 그리고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둘이 만나 사랑으로 한 가족이 되었다고 5 11일을 입양의 날로 정해 지키고 있다. 사랑으로 한 가족이 된다는 그 범위를 넓히면 또 지구라는 한 배를 탄 세계가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5월에 세계인의 날도 있다. 여기 미국에 있으면서 유학생, 이민자들의 마음을 많이 깨닫는다. 언어가 원활하지 않는데서 오는 불편함과 억울함, 아시아인으로의 차별이 만들어 내는 불안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미국 사회에 주류로 당당히 핵심 역할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떠돌이 디아스포라의 마음을 배운다. 전세계에 이런 디아스포라 한국동포가 1000만 명에 육박한다. 떠돌이 디아스포라의 마음을 가장 잘 아는 국민이 바로 우리가 아닐까. 아픔의 역사로 관철된 대한민국, 먹을 것이 없어서 입을 것이 없어서 서러워해보고 아파해본 우리가 아니었던가. 이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100만 명이 넘어섰다고 한다. 그들의 마음을 우리가 가장 잘 안다. 그들이 우리였을 테니까. 공감하는 사랑의 마음으로 한국에 있는 동남아 이민자들에게 다가가 이제 그들까지 품어야 할 때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박희정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실, 듀크대학 로스쿨 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 전공


posted by DreambigHouse
2012. 5. 10. 16:19 큰꿈이 보는 세상

사설.칼럼

왜냐면

[왜냐면] 5월11일 ‘입양의 날’을 맞아
이성과 자유, 양심에 묻는다


일러스트레이션 유아영

아이가 아니라
내 필요에 따른 입양이라면
인권의 본질을 곱씹어볼 때다

박희정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실 근무, 듀크대학 로스쿨 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 전공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나자마자 폐허의 땅 한국은 참 가난했다. 그래서 정부는 굶어 죽어가고 있는 아이들을 해외로 보내서라도 살려내자는 의도에서 고아와 아이들을 외국으로 보냈다. 그렇게 시작된 정부의 입양정책이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매년 1000명의 아이들을 외국으로 보내고 있다. 1970년대까지 절대적인 가난이 입양의 근본 원인이었다면, 이제는 소득불균형과 상대적인 가난으로 미혼모들이 아이를 키울 수 없는 이유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사실 나는 입양인들과 같이 먹고 자고 생활하기도 하면서 지금까지 입양단체와 10년간 인연을 맺어오고 있다. 수많은 가슴 아픈 이야기와 감동적인 순간을 경험하며 함께 울었다. 언어장애, 양부모와의 불화, 사회부적응과 비행으로 형사처벌되어 한국으로 추방된 경우까지 다양하다. 언론에 소개되는 끔찍한 사건으로는 양부모로부터 폭행당하고 살해당하는 경우, 그리고 이와 반대로 양부모를 폭행하고 살해하는 경우다. 스웨덴 정부에서는 또래의 현지 청소년과 비교해 한국에서 입양되어온 청소년의 마약·폭행 및 비행률이 3~4배, 여성의 경우 5배 이상 높고, 자살률도 2~3배나 높다는 연구자료를 발표한 적이 있다.

해외입양의 문제를 찬성·반대로만 따진다거나 입양사후관리로만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세계인권보고서에서 우리 정부에 보내온 권고안의 핵심인 입양에 관한 규제 및 감독을 위임받은 정부기관을 만들어, 좀더 적극적으로 국내외 입양과 입양사후관리를 전담하고 음성입양을 처벌하는 조항을 만드는 등 큰 구실을 할 수는 있다. 그럼에도 입양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이 무엇이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그 원인을 찾는 데 무엇보다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올해 보건복지부 통계는 적어도 내겐 충격적이었다. 국내입양인 총 1548명 중 1452명(전체의 93.8%), 해외입양의 경우 총 916명 중 810명(88.4%)이 미혼모의 아이들이었다. 특히 자신의 아이를 외국으로 입양 보낸 미혼모 810명 중에 무직이 526명(65%)으로 가장 많았다.

가난이 꼬리를 물고 또다른 가난과 비극을 만들어낸다. 입양에서도 똑같은 모습이 보여진다. 나는 한국의 입양기관에서 일하며 입양인들과 미혼모들의 실태 및 사후관리 입법에 대해 연구하는 일에 참여한 적이 있다. 미혼모들은 임신 사실을 대부분 숨기며 시설에서 몰래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혼모가 아이를 낳을 때까지 머물 수 있는 시설은 25곳이다. 이 가운데 17곳이 입양기관에 의해 운영되는데, 거기 머무르려면 먼저 아이를 입양시키겠다고 약속해야 한다. 특히 재정적으로 궁박한 미혼모들의 양육권을 포기하게 만드는 것과 함께 입양기관의 욕심도 의심이 간다. 입양기관이 아이를 국내 부모에게 입양 보내는 경우엔 소개비가 200만원 정도인 반면, 외국으로 보내면 2000만원에 가까운 소개비를 받는다. 스웨덴 한국입양인 토비아스 후비네트(한국명 이삼돌) 박사가 해외입양을 결사반대하며, 입양기관의 해외입양은 ‘입양 비즈니스’라고 한 말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해외입양 문제는 가난이라는 큰 범주에서 접근해야 하며, 사회적 약자인 미혼모와 저소득층 문제가 해결될 때라야 비로소 입양과 입양인들의 인권 문제가 해결 방향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가난을 교육, 인프라, 복지, 제도와 법, 사회적 인식 등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소장을 맡고 있는 송상현 교수님이 세계은행 행사에서 기조연설 때 발표한 자료를 보내준 적이 있는데, 궁지에 몰린 빈곤 퇴치 프로젝트에 활기를 불어넣고 개발의 명쾌한 방향을 제시한 사법과의 상호협력이 개발에 핵심 구실을 한다는 내용이다.

우리는 지금 예전과는 완전히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아이가 아니라 자신의 필요에 의한 입양이라면, 곱씹고 인권의 본질에 대해 다시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532081.html (한겨레 신문 2012년 5월 10일 지면 29면)


posted by DreambigHouse
2012. 4. 29. 07:46 큰꿈이 보는 세상


http://news.donga.com/3/all/20120412/45458786/1

꿈을 꾸는 것은 자유다. 넘어지고 쓰러져도 오뚝이처럼 일어서는 것이 감동적인 이유는 꿈을 포기할 수 없는 에너지 때문이다. 태생적 기업가, 사실 대한민국이 그랬다. 일본의 식민지로 조국을 잃는 아픔을 겪었고 6·25전쟁으로 잿더미가 된 땅을 맨손으로 일궈 나라를 일으켜야 했다. 

전 세계 그 어떤 나라도 대한민국에서 희망을 찾기 어려웠다. 1953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못사는 소말리아보다 적은 67달러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못사는 나라였다. 

그러나 우리 아버지와 어머니들은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열심히 일했다. 새마을운동과 한강의 기적으로 800배의 경제성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배출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최고를 다투는 나라가 됐다.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바뀐 유일한 국가다.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만 세계 최고의 나라가 되기보다는 문화적으로 세계 최고의 나라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것은 아픔의 역사를 통해 다같이 더불어 살아가야만 한다는 것을 배운 나라이기 때문이다.

기업가정신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정신과 함께 살아가겠다는 따뜻한 용기 아닐까. 이곳 교수들이 하나같이 강조하며 가장 많이 하는 말이 있다. 그것은 ‘빨리 많이 실패해 보라’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훈련하라는 것이다. 실패하라는 것이다. 꿈을 마음껏 실험하라는 것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서 ‘인간을 멸(滅)하게 할 수는 있지만 패(敗)하게 할 수는 없다(A man can be destroyed but not defeated)’는 말이 떠오른다. 그렇다. 특히 좁은 땅덩어리 대한민국에서 꿈이 유일한 우리의 밑천인데, 꿈을 마음껏 실험하는 데 따르는 실패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실패해 봤으니 그만큼 이제 성공에 좀 더 가까워진 셈이다.(박희정 ‘나는 꿈을 실험한다’)

우리는 한 배를 탔다. 지구라는 한 배를 탔다. 좋든 싫든 같이 살아가야만 한다. 싫다고 배를 뒤집어엎을 수는 없다. 여기 월가 시위는 대학 교실로 이어져 또 다른 새로운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80억 명이 탄 지구라는 배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한 번 실패하면 영원히 재기할 수 없는 삶의 패배자로 낙인찍는 사회가 아니라 저소득층까지 끌어안는, 사회적 약자에게도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 말이다. 모두를 품는 ‘회복’과 꿈의 ‘발전’이 함께하는 기업가정신을 기대해본다. 

우리의 60년 경험을 바탕으로 5조 달러 규모의 세계 저소득층 시장을 개척하자고 제안한다. 5조 달러 시장으로 가서 가난을 없애고 그들을 충분히 잘살게 해서 더 큰 파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스토리를 만드는 것, 새로운 상상력과 개척가적 모험심으로 모두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 이 시대가 요구하는 가치에 대한 대답이 아닐까 생각한다.

박희정 듀크대 로스쿨 기업가정신 전공

posted by DreambigHouse
2012. 4. 29. 07:35 책이 만들어 가는 세상


목차

프롤로그 _ 나는 꿈을 실험한다 

추천의 글 

PART1. 하나님만 의지해보는 실험 

chapter1. 하나님에게만 의지해보기 
chapter2. 미국 생활기 
chapter3. 기도에 내 자신을 내던지다 
chapter4. 믿는 자는 달라야 한다 

PART2. 소명을 발견하기 위한 실험 

chapter1. 실험 배경 
chapter2. 새로운 도전을 통한 나만의 길 찾기 
chapter3. 학벌과 배경만 추구하는 세상에 맞서 나만의 길 찾기 
chapter4. 한국을 넘어 세계에서 나만의 길 찾기 

PART3. 사랑을 실천하기 위한 실험 

chapter1.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chapter2. 사랑을 실천하다 
chapter3. 두려움은 하나님의 것이 아니다 
chapter4. 나와 같은 꿈을 꾸는 친구를 만나다 

PART4. 꿈을 향한 준비 

chapter1. 미래의 계획 
chapter2. 독서토론 노하우 
chapter3. 나의 추천 애독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에필로그 _ 도우시는 하나님의 손길

박희정, 그를 추천하다 

박희정은 변호사가 되어 가난의 한을 풀어 볼만도 한데, 세상의 약한 자들의 눈물을 닦아 주는 것이 죽기 전에 해야 할 사명이라 생각하고 NGO변호사를 꿈꾸고 있다. 야망에 사로잡혀 진정한 꿈을 잃어가는 청년과 청소년들에게 추천한다. 
김동호 목사(높은뜻선교회/열매나눔재단 대표) 

꿈을 향해 계속해서 전진하다 보면 어려움이 있기도 하고 장애물을 만나기도 한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그 믿음으로 한걸음씩 성취해 나가며, 감사와 영광을 올려드리는 젊은 하나님의 일꾼의 이 글이, 하나님의 꿈을 품은 많은 젊은이들에게 큰 도전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김영길 총장(한동대학교 총장)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나쁘면 나쁜 대로 늘 감사할 이유를 찾아내는 것, 그것이 기독교 신앙이다. 그것이 성품이 아니라 믿음이며 기질이 아니라 훈련에서 오는 것임을 독자들은 읽어 내려가면서 깨닫게 될 것이다. 
김형민 담임목사(대학연합교회) 

요즘 보기 드물게 세상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그늘진 곳에 자신의 달란트를 드리고자 하는 희정 군을 격려하고픈 마음이 가득했다. 이런 청년이 세상을 변화시킨다. 
박수웅 장로(JAMA 국제사역총무/코스타 강사) 

하나님을 믿는 청년들에게는 ‘꿈을 실험하는 도전에의 믿음’을, 하나님을 모르는 청년들에게는 ‘예수님이 희망’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아가길 기대하며 추천한다. 사람이 빵만으로 사는 것이 아니다! 
이어령 교수(이화여대 석좌교수/전 문화부 장관) 

‘꿈을 실험하다’ 이미 꿈을 상실한 조국의 청년들 앞에 서서 꿈을 실험하고 그 꿈을 맛보며 그 꿈으로 살아가는 청년을 만나는 것은 가슴이 뛰는 일이다. ‘꿈이 없다’고 말하는 조국의 청년들에게 이 책을 내밀고 싶다. 
하정완 담임목사(꿈이있는교회/코스타 강사) 

포기하지 않고 꿈을 좇는 젊은이의 처절한 일상은 거룩 그 자체다. 여기 박희정이 꿈을 실현해야 할 이유가 있다. 그는 이 시대 어려운 현실 속에서 숨죽이며 꿈을 좇는 수많은 사람들의 아바타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그렇게 처절하게 자신의 꿈을 실현해보길 권한다. 
함 택 담임목사(문호교회/장로회신학대 구약학 강사) 

어떤 일을 하든 그는 분명 거듭난 죄인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낮은 자리에서 종의 모습으로 살아갈 것을 확신하며, 하나님이 주신 그의 부드럽고도 온유한 마음, 굳건한 믿음이 나는 너무나 좋다. 
로버트 멜론(교육학 박사/전 뉴욕주 교육감)

posted by DreambigHouse
2012. 4. 29. 07:08 큰꿈이 보는 세상



모든 사람은 자신을 살피는 마음에 의하여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써 살아가는 것이다.


내가 무사히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내가 내 일을 여러 가지로 걱정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나가던 사람과 그 아내에게 사랑이 있어

나를 불쌍히 여기고 나를 사랑해주었기 때문이다.


고아가 잘 자라고 있는 것은

모두가 두 아이의 생계를 걱정해주었기 때문이 아니라

타인인 한 여인에게 사랑의 마음이 있어

그 아이들을 가엾게 생각하고 사랑해주었기 때문이다.


모든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것도

모두가 각자 자신의 일을 걱정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 속에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자신을 걱정함으로써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만 인간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일 뿐,


사실은 사랑에 의해 살아가는 것이다.


- 톨스토이

posted by DreambigHouse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또한 지금 여기 한인교회에서 조장으로 조원들을 섬기며 이 땅에서의 Kingdom Revolution이 이루어지도록 예수님의 평강 안에서 제 마음과 생각을 지키도록 기도와 간구로 감사함으로 말씀 안에 살도록 매일매일 주님의 은혜를 구해봅니다.

 

여기 미국에 온지 이제 5개월째 입니다. 2학기 수업이 시작된지도 벌써 3주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제가 있는 여기 워싱턴대학에서는 날씨 때문에 오늘 갑작스럽게 모든 수업을 휴강했습니다. 눈 섞인 비가 폭풍과 함께 오다가 온도가 영하 20도로 떨어지면서 학교에서 전체 휴교령을 내렸습니다. 눈이 30센치 이상 쌓일 때도 수업을 하고 날씨 때문에 휴강을 하는 일은 없다고 했는데, 학교에서 휴교령을 내리기는 처음입니다. 제가 있는 로스쿨 건물에서도 문을 걸어 닫고, 모두 집으로 일찍 가라며 경비들이 크게 소리치며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자주 공부하는 4층 도서관 리딩룸에는 마침내 학장이 와서는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안전이 더 중요하다면서 집에 갈 것을 권했습니다. 그래도 저는 학교근처에 살기 때문에 밤 11시가 넘어서야 집에 들어오긴 했습니다. 나중에 지역신문을 통해서 미주리 주 주지사가 날씨때문에 비상령을 내렸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수업시간에는 금발머리 파란 눈을 가진 백인 친구들을 보면 아직도 이상하고, 미국이 한국보다 15시간이나 늦다라는 것이 여전히 새삼 새롭게 느껴지는 것을 보면, 아직 미국생활에 적응이 덜 됐나 봅니다. 더욱이 지난 달부터 집에서 한국음식을 해 먹기 시작했는데, 한번 한국음식을 해 먹기 시작하니까, 도저히 샌드위치와 빵으로만 끼니를 해결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과, 우리의 고유한 것들에 대한 그리움들이 마음 한 구석에서 뭉클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을 느낄 때는, 역시 한국인으로 태어나서 한국인으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그런 운명임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앞서 탐험한 인생의 선배님이시자 신앙의 어른이신 분들의 선견지명과 혜안의 지각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질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탄생과 죽음이라는 이 인생의 여정 앞에서 아픔의 물잔을 들이키며, 또 좌충우돌 안과 밖에 곪아 터진 상처를 감싸매며, 애초에 제게는 자존심이란 사치였다고, 모든 것을 뒤엎지는 못할지라도 그래도 최소한의 세상을 바라볼, 희망으로 향하는 그 터널의 출구를 찾아보려 안간힘을 쓰고 있는 저 자신을 발견합니다. 그래도 보이지 않는 것을 믿는 그 믿음으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라고 다짐하는 기도의 두손이 있음에 또다시 감사하고 있습니다. 이 믿음이 마침내 상처로부터 자유를, 자존심으로부터 자유를, 포기하고 싶은 마음으로부터의 자유를, 거짓으로부터의 자유를, 앎으로부터의 자유를... 그러한 참 자유로운 영혼으로의 대형독수리 날개짓을 흉내내 봅니다.

 

이번 학기에는 미국 헌법 수업을 듣고 있는데, 정말 소설을 읽는 듯 영화를 보는 듯 참 수업이 재미있고 판례들이 흥미진진합니다. 특히, 미국 건국 역사부터 삼권의 정부가 다투며 발전하는 모습들을 보며, 한반도의 남북이 통일될 때의 새로운 정부에 대한 상상도 해보게 됩니다. 그리고 기업인수합병(Business Law M&A) 과목은 뉴욕 로펌의 한 미국인 대표변호사가 와서 수업을 가르치는데, 법적인 관점부터 회계 및 경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접근하며, 특히 쉽게 가르쳐주셔서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기에는 소논문을 하나 써야 하는데, 국제형사법에서 "전쟁범죄"에서 제가 주제를 선택해서 써야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소논문을 리서치하고 준비하려 하고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잠깐 생각해본 소논문의 주제로는, 북한의 한국전쟁과 여러 테러와 폭침을 언급하면서, 김정일 부자를 국제형사재판소에 제소하는 방안을 간략하게 연구해볼까 합니다.

 

한국에는 곧 고유명절인 구정설날이 다가옵니다. 새해에는 더욱 좋은 일들만 가득가득 하시길 그리고 더욱 건강하시고, 기도와 함께 마음의 평화가 가득한 그런 한 해가 되시길 바랄께요. 근하신년, Happy & Prosperous 2011 !!!

 

워싱턴대학에서 박희정 올림
2011년 2월 2일


'우리들이 만들어가는 스토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ril 4th  (0) 2016.04.06
April 5th  (0) 2016.04.06
10. On Interculturalism -DreambigHOUSE-  (0) 2010.12.29
9. 나는 청년 독수리 -DreambigHOUSE-  (4) 2010.12.29
8. 석 달을 보내며 -DreambigHOUSE-  (0) 2010.12.29
posted by DreambigHouse

I have a great interest in "peace" based on liberalism and "prosperity" based on entrepreneurship.  To leaders in the global era, such attitude as a citizen of the world that "we should live together with each other" on earth is required.  This has also something to do with peace and prosperity through social integration. 

To this end, understanding of cultures that may enhance social diversity and connectivity - interculturalism -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roaden horizon of new communication.  I'd like to learn these here in the US.  I came here to learn new approach to communications and entrepreneurship as global leader.  Through this, I'd like to build an " International Value-Innovation Enterprise" that allows new communication and realizes social justice. 

posted by DreambigHouse


1.
지하철 역에선가 봤던 기억이 난다. "잘 나갈 때 교만하지 말고, 힘들 때 낙담하지 말기 !"

미국에 온 지 석달이 넘어간다. 늦은 나이에 공부하는 것이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더욱이 없는 사람이 이국땅에 와서 성공하기란 만만치가 않다. 그래도 미국에 공부하러 온지 석달만에 자그마한 기쁜 일이 있어서 기분이 좋았던 것은 사실이다.(법률공모전에서 우승한 것)

학교 홈페이지에 인터뷰기사가 뜨고, 로스쿨에서는 교내 학생들에게 전체 이메일로 이 소식을 알려주었다. 그리고는 축하해주는 친구들도 많았지만(로스쿨 기말고사 기간 임에도), 시기하는 친구들도 참 많았다. 특히 중국 친구들의 시기는 무서울 정도였다. 여러 인종들이 모여서 공부하는 이 곳. 여기서 살아남기란 만만치가 않다. 외로움도 어려움도 경쟁도 다 이겨내고 담담히 마음을 비울 줄도 알아야하니까...

2. 
여기로 공부하러 올 때, 한국에서 누군가가 나에게 이렇게 얘기했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랭이가 찢어진다."  (나를 뱁새로 전제하고...)
...
그때 나는 이런저런 많은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는 가진 것 없어 보이는 뱁새가 참 불쌍하다는 생각을 했다.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도 있는데, 왜 하필이면 뱁새와 황새 이야기를 하는가... 왜 참새크기의 뱁새가 두루미크기의 황새를 따라가면 안 되는지... 둘이 사이좋게 지내는 방법은 없는지...) 그런데 여기 와보니 사실은 그랬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랭이가 찢어질 것만 같았다.' 

그런데 문뜩 억울한 생각이 들었다. "뱁새"라, ...
그리고는 나는 찍찍대는 '뱁새'가 아니라, 꽥꽥대는 '닭'이 아니라, "독수리"다!라고 마음속으로 외치기 시작했다. 닭장 속에 여러 닭들과 같이 있다고 해서 결코 닭이 될 수는 없다. 절벽 앞에서 벼랑 끝에서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저 넓은 창공을 향해 훨훨 날아 높이 올라가는 독수리다. 더 높이 더 멀리 비상하는 독수리, 나는 독수리!

3.
나는 자유라는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평화"와 기업가정신에 기반을 둔 "번영"에 관심이 많다. 글로벌시대에 리더라 함은 바로 이 지구 위에서 “다 같이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세계시민이라는 자세를 요구하기도 한다. 바로 사회의 통합을 통해 평화와 번영을 이야기 하자고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바로 사회적 다양성과 관계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 간의 이해 즉 Interculturalism의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multiculturalism을 뛰어넘어) 또한, 새로운 소통의 지평을 위해서 말이다. 나는 이러한 것을 여기 미국에서 배우고 싶다. 특히 소수 인종으로 살아가는 한국인이지만, 글로벌 리더로서 새로운 소통과 기업가정신을 배우기 위해 여기 미국에 온 것이다. 그리하여 새로운 소통이 가능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그런 “사회적 기업”을 만들고자 한다. 나아가 통일정부에 기여하는 법조인이 되고 싶다.

posted by DreambigHouse

2010년 12월 8일(수)

사랑하는 여러분들의 격려로 열심히 뛰며 배우며 모든 사물과 존재하는 것들을 사랑하려는 마음으로 애정을 갖고 열심히 공부하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 저에게는 정말 좋은 기회이니까요!^^* 조금 늦은 나이에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꿈을 접을 수 없어서, 이렇게 다시 공부하러 오게 되었습니다. 여기는 이제 기말고사로 정신이 없습니다. 내일까지 시험기간입니다. 그리고 1월 10일까지 방학기간입니다. 저는 막 회사법(Corporations) 시험을 끝내고 이제 ADR(대체분쟁해결) 과목 하나만 남겨두고 있습니다. 

미국에 온지 이제 3개월이 지나고 있습니다. 여기 오자마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틈틈히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사실 지난 11월 초에는 무리하게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병원을 다녀온 이후로는 밤새서 공부하는 것이 많이 조심스러워졌습니다. 건강관리를 잘 하면서 지혜롭게 슬기롭게 유학생활을 하도록 명심하겠습니다. 그래도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뒤돌아보면 모든 것이 감사할 것 뿐이라는 것을 잘 압니다.  특히 여러가지로 세심히 챙겨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쑥쓰럽지만, 제가 이번에 네셔널로리뷰(National Law Review)라고 하는 곳에 제 글이 선정되었습니다. 이것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참 신기한 일이 있었습니다. 영어도 미국인과 비교해서 상당히 부족한 데, 미국 전역의 날고 뛰는 로스쿨 학생들이 많이 있을텐데도 말입니다. 케이스와 법률로 논리를 만들어야하는 글에서 성경의 본문 인용하고 더 나아가 주석의 반이 성경에서 가져왔습니다. 논리적으로도 부족하고 법률적으로도 그리고 언어적으로도 엄청 부족한 제 글이 어떻게 우승할 수 있었는지 의아할 따름입니다. 그리고는 저의 부족함에 다시금 겸허히 무릎꿇고 기도할 수 밖에 없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사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 이 때에 정말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고 두려워 할 이 때에, 하나님께서 힘내라고 격려해주시는 것 같았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생명보다 낫다고 고백한 다윗처럼 고백하게 해 달라고 그리고 조용히 이제는 강하게 성장하게 해 달라고 기도했습니다. 하나님은 저를 버리지 않으셨다고... 그래도 저를 사랑한다고... 말입니다. 아는 사람없고, 가진 것 하나 없는 그런, 저처럼 부족하고 어리석은 자를 통해서도 하나님께서 역사하심을 보여주시려고 하나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겸손하고 그리고 좀더 담대하게 해달라고 시편 63편을 묵상하며 기도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생명보다 나으므로..." 

Merry Christmas and Happy New Year!!!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박희정 올림.


(핵심내용)
미국 200개 로스쿨 대학 중에서 워싱턴대 로스쿨 학생이 네셔널로리뷰(National Law Review)에 글 선정됐음. 보통 네이티브 미국인 로스쿨 학생도 힘든 것에, 한국에서 온 로스쿨 석사 학생이 우승했음. 워싱턴대학에서는 최초로 네셔널로리뷰에 글이 선정되었음. 학교 홈페이지에는 "한국에서 온 워싱턴로스쿨 석사학생 네셔널로리뷰에서 우승하다"라는 제목으로 기사가 나와 있음. 독특하고 창의적인 접근법이 남달랐기에 우승한 것으로 봄. 짧은 글이지만 미주리 주 주지사 밥홀덴의 축하메일, 학장님과 교수님의 격려메일, 지역 교정기관과 교회에서 많은 관심을 가짐. 

제목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로의 회복적 사법" -국제형사법의 대체적 방안-
(범죄률을 줄이는 방안으로 피해자, 가해자, 지역사회라는 세 당사자가 같이 힘을 모아야하고, 특히 가해자와 지역사회가 적극 참여해서 해결하자는 내용으로 인체로 치자면 양약이 아니라 한방약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하자는 내용입니다. 손과 발이 잘못했다고 손을 짜르거나 발을 짜를 수 없듯이, 한 인체와 같은 우리 사회는 결국엔 다같이 더불어 살아가야하는 공동체이기에 말입니다. 지역사회와 국가의 책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의 평화와 번영의 이야기를 했습니다. 상처와 회복 그리고 용서와 관용에 초점을 맞추면서 말입니다)

관련 중앙일보 기사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777583&ctg=1201

posted by DreambigHouse

2010년 11월 1일(월)

외로움이 두려움으로 공포로 다가온다는 말이 실감이 났다.  

그저깨는 여기 세인트루이스 BJC병원(Barnes-Jewish Hospital: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워싱턴대 병원 중에 하나라고 함: 그래서 병원비를 하나도 안받았나보다...)에 처음으로 입원했다. 세상에 정말 혼자였다. 병원 냄새도 싫었고, 의사복과 기계들도 싫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에게 내 모든 것을 맡길 수 밖에 없는 처지를 보니 정말이고 무서웠다. 무엇보다도 덜컥하니 겁이 났다.

사실 energy drink를 먹고 버티다 버티다, 그저께 병원신세를 지고야 말았다. 수술 할 정도가 아니면, 한국에서도 잘 안가는 병원을... 무의식적으로 두 손을 모았다. 하나님 살려주세요. 이렇게 죽을 수는 없습니다...정말 죽는 줄 알았다. 그리고 조금 진정되었을 때는 또 다른 두려움이 몰려왔다. 그 두려움은 외로움이란 것과 함께 엄청 강하게 밀려왔다.

정말 무서웠다. 혼자라는 게 무서웠다. 퇴원할 때 "보호자가 와야한다"고 할 때 더 무서웠다. "보호자 없어요. 혼자 공부하러 왔어요."라고 하고 퇴원시켜달라고 하고, 택시를 불러 집으로 왔다. (사실 집에 오기까지도 정말 힘들었다. 마치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찾는 기분으로 ABC택시회사에 전화했지만 택시는 30분이 넘어서야 왔으니... 말도 제대로 못하는 상태였는데... 이때 상황은 두번다시 기억조차 하고 싶지 않다...)

지금 다시 그 때의 한 순간 한 순간을 떠올리기만 해도 구역질이 난다.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갈 때의 장면, 병원에서 의사의 질문, 웃옷을 벗고 환자복으로 갈아입는 순간, 간호사가 실수로 바늘을 제대로 꽂지 못해 흘린 자욱한 핏자국, 닝겔과 연결된 나의 팔, 싸인하고 퇴원하는 장면, 아무리봐도 없는 택시, 몇 번을 전화해도 안오는 택시, 집으로 와서 누워있는 나의 모습...

미국 온지 2달의 신고식 치고는 조금 매서웠다. 그리고 절대 욕심 부리지 말고 무리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했다. 나를 더욱 강하게 한 것임에 틀림없겠지... 나는 더 강한 사람이 된 것이야... 두 번 다시 어리석게 무식하게 나를 이끌지 않겠다. 정석대로 규칙적으로...

(아픈 뒤에 회복이 더딘 것이 또 겁이 났다. 이번주만 지나면 좀 쉴 수 있을 것 같다. 쉬어줘야하는데... 아, 이것저것 계획한 것들이 많아서...)

posted by DreambigHouse


2010년 10월 15일

지난 금요일에서 토요일 새벽 3-4시경,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너무 무서웠다.

여기 아파트는 한국과 많이 다르다. 일반 주택이 좋고 안전한 곳이고, 내가 사는 곳과 같은 아파트는 대부분 흑인들이나 아주 하층 서민들이 사는 곳이다.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역시 대부분 연로하신 흑인들과 혈기 많은 젊은 흑인들이 많이 살고 있다. 혈기 왕성한 젊은 친구들이 걱정이다. 이곳 미국은 또한 총을 소지할 수 있는 곳이기에 더욱 위험하다. 젊은 애들이 욱해서 발끈하고 고함지를 때는 정말이고 겁이 난다.

지난 금요일도 그랬다. 주말에는 자주 그런다. 나는 주말에 새벽예배가 있어서 빨리 자야하는데, 여기는 시끄럽고 싸움이 잦다. 그 날은 흑인애들이 팻싸움이 붙은 것이다. 그것도 새벽 3새경부터 한 시간 내내 문을 부스는 소리며 유리컵이 깨지는 소리며, 더 무서운 건 그들이 분노하면서 소리치는 고함소리가 너무 무서웠다. 정말 누구라도 죽일라는 그런 독을 품은 굵고 강한 그 목소리가 정말이고 무서웠다. 불똥이 내방으로 퍼질까 너무 겁이 났다. 양 옆방에 젊은 흑인들이 살고 있고 내가 사는 3층에는 대부분이 흑인이다. 사실 건물에 대부분이 흑인들인 거 같다. 1시간 내내 싸우는데도 누구하나 신고를 하지 않는다. 흑인들이어서인지 경찰과 연루되는 건 바라지 않아서인지 몰라도 왜 신고를 안하는지 모르겠다고 의아해했다.

금요일 새벽인 어제 밤도 그랬다. 문 부수는 소리는 1시간 내내 들렸다. 누군가가 문을 열지 않아서 인지 아니면 자기방의 열쇠가 없어서인지 문을 부수고라서도 들어가겠다는 건지 잠긴 문을 계속 억지로 두드리고 잡아당기고 하는 소리가 너무나 커서 잠에서 깼다. 새벽 2시 반 정도부터 말이다. 주위에 아무도 조용하라고 하지 않는다. 경찰에 신고하는 사람들도 없다. 자기 방을 부수고 들어올까 겁날 정도로 그렇게 큰 소리로 문을 부수고 있는데도 말이다. 두겹으로 잡긴 자물쇠를 부수기는 쉬울 거 같았다. 나는 내 책상으로라도 문을 막아둬야하지 않나하고 겁에 질려 잠을 잘 수가 없었다. 사고가 잦은 이곳에서 계속 살아야할지 걱정이다. 다른 건 다 좋은데, 위험해서 걱정이다. 오늘 밤은 싸움없이 조용히 잘 수 있도록 기도해야겠다. 

내가 사는 곳은 델마(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이곳 델마는 도시 정책적으로 흑인들을 모아둔 곳이라고 한다. 따라서 백인들은 여기서 공식적으로 이사오거나 거주할 수 없다. 옛날 이야기겠지요?라고 하니, 아직도 그렇다고 도시관계자가 그랬다)라는 곳에 위치해 있다. 살짝 대학가 분위기가 나기도 하지만 흑인들을 포함해서 하층민들이 많이 살고 오래된 건물이 대부분이다. 내가 사는 곳 북쪽으로 조금 더 가면 더 위험한 곳이 많다. 그쪽으로는 왠만하면 가지 말라고들 한다. 사실 오래된 건물에는 대부분 지하에 세탁실이 있다. 이곳에는 거미줄과 쥐를 보는 것은 일상사다. 처음에는 겁이 나지만 한달 정도 지나면 조금씩 적응한다. 여자들은 그것이 무서워서 다른 새탁실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좀더 흑인들이 몰여있는 동네로 가면, 그동네를 들어가는데 경찰로부터 싸인을 받아야 들어갈 수 있다. 그 동네에 들어가서 죽어도 책임없다라는 그런 정도의 싸인이다. 그래서 이곳 세인트루이스는 미국 전역에서 범죄률 1위인 것이다. 이것과 달리 남쪽으로 조금만 가면 아주 큰 저택들이 즐비하게 펼쳐진다. 집들이 정말 으시으시하다. 사람들이 사는 집인지 왕들이 사는 집인지 의아할 정도다. 그 근처에서 집구경도 못하도록 private residece라고 푯말을 붙여둔 곳도 많다. 그런 건물들은 정말이고 엄청나게 크고 넓은 땅과 주차장들과 같이 있다. 대략 한국의 시청건물 크기 정도라고 해야 하나, 아니 훨씬 더 큰 저택들도 많다. 특히 엄청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그 건물들은 최적의 자리에 자리를 잡고 있다. 사람이 인공적으로 가꾼 자연이 아니라 100년 정도 그대로 위치한 자연그대로의 자연의 공간에 대 저택들이 위치해 있기에 더욱 아름답다. 그래서 이곳을 또한 미국의 부촌 중의 한 곳이라 손꼽으며, 많은 정계 경제계 지도자들이 살고 있다.

이곳 세인트루이스라는 도시, 참 아이러니하면서도 재미있는 곳이다.

posted by DreambigHouse

2010 10월 14일 목요일

나는 여기 유학생들과는 딴 세상을 살고 있는 것 같다. 그들과 다른 생각을 하고 있고, 그들과 다른 생활을 하고 있고, 그들과 다른 꿈을 꾸고 있다.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참 여유로운 생활을 한다. 비록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지 못한 학생들조차도 부모님의 도움으로 아무 걱정없이 공부를 하고 있다.

학비 걱정없이 공부만 할 수 있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나는 두달 뒤, 한달 뒤를 걱정해야하는 신세다. 나는 모든 것을 내가 알아서 해야한다. 10년 전부터 그랫으며, 부모님으로부터 어떠한 도움을 바라기는 커녕 어떻게하면 부모님을 도와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있으니 말이다.

항상 스스로 경제 구조를 고민해야한다. 학비와 더불어, 먹는 데 들어가는 돈이 있어야 한다. 자는 데 들어가는 방값이 있어야 한다. 사람들을 만나고 책을 사는 데 돈이 있어야 한다. 내 스스로 이런 구조를 만들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길거리에 내 쫓기게 될 지도 모른다.

나는 그야말로 미국이라는 이곳에서 방랑객이다. 또한 두 개의 세상을 살고 있는 디아스포라이다. 그들과 함께 웃고 울면서도 나는 그들과 다른 종족이다.

여기 유학생활을 하는 하루하루가 그야말로 기적이다.
하루하루 버티고 있는 것이 그야말로 기적이다.
아무것도 없었던 내가 어떻게 여기 미국땅에 있을 수 있는지,
아무것도 없는 내가 어떻게 여기 미국땅에서 공부하고 있을 수 있는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내가 여기 서 있는 그 자체만으로도 기적이다.

자연의 웅장함 앞에 겸허하게 되고,
우주의 신비 앞에 겸손하게 되고,
하루하루의 기적 앞에서 더욱 감사하게 된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많이 웃고,
내일은 오늘보다 더 많이 사랑하며,
내일은 오늘보다 더 많이 감사하자고,
배게 위에서 두 손을 모으며 하루를 정리한다.

 

posted by DreambigHouse

10월 9일 생일 날,

거짓말을 했다. 음력생일을 센다고 했다. 많은 유학생들이 힘들게 생활하는데, 괜히 주위 유학생들에게 피해를 줄까봐 한 두달 뒤에 생일이라고 했다. 오빠고 형인데, 동생들 챙겨주지는 못할망정 친구 동생들에게 피해를 주고 싶지는 않았다.

“희정씨, 생일인데 왜 말씀하시지 않으셨어요?”
“아~ 저 생일 그거... 음력인데요.. 아마 한 두달 뒤에...”

거짓말을 하고 계속 마음이 불편했다. 내가 좋아하는 책 중에 벤자민 프랭클린의 ‘덕의 기술’을 읽고 감명받은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정직과 성실을 벗으로 삼아라, 제아무리 친한 벗이라도 정직과 성실만큼 너를 돕지는 못할 것이다.’ (사실 뭐 생일 날만이 특별한 날이겠는가... 하루하루 삶 전체가 특별함 그 자체일진데...)

예전에 중국친구들과 같이 미국인교회에 만두파티에 초대를 받은 적이 있다.(이 미국인교회는 독특했다. 예배 끝에 꼭 독일어와 영어로 같이 신앙고백을 한다.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설립자가 독일인이어서 그렇다나... 사실 여기 세인트루이스의 특징 중에 하나는 한 백년 전쯤에 독일인들 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위그노들이 종교박해를 피해서 정착한 곳이기도 하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거기서 만난 친구 brad와 같이 작은 한인식당 u-city grill에서 점심을 했다. 이 친구는 다코다(south dakoda)에서 여기 세인트루이스로 온지 2주가 되었는데, 정부기관에서 지리관련 업무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가족이야기를 하게 되었는데, 총 8명의 형제자매가 있다고 한다. 3번이나 이혼을 해서 4번째 어머니가 있으며, 모두다 형제자매라고 했다. 참 이상하고 나로서는 참 이해하기 힘든 가정사 이야기를 그는 쉽고 편하게 말을 해줬다. 우리는 델마 거리를 잠시 산책하고 워싱턴대학 근처를 거닐다가 헤어졌다. 뭔가 아픔이 많을 것 같은 친구인데, 그는 과거의 상처에서 분명 "자유"로웠다. 정부기관에서 일하기 때문에 월급도 넉넉히 받는다며 벤츠를 끌고 다니는 이 친구에게서 교만함이란 찾아볼 수가 없었다. 얼마나 낮은 모습으로 겸손하며 항상 남을 이해하려는 이 친구는 분명 가진 것에서부터 "자유로움"에 틀림없었다.

비록 미역국 없이, 생일 케익없이 보냈지만, 그래도 아침저녁이 쌀쌀한 이 가을에 조용히 기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한 사람을 위해 기도하게 해 달라고, 그리고 내 영혼이 살찌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하루였다. 주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또 감사합니다. 이렇게 공부하게 해 주심을 감사드립니다.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give thanks with a grateful heart,
give thanks to the Holy One,
give thanks because He's given,
Jesus Christ His son,

And now,
Let the weak say
I am strong,
Let the poor say
I am rich,
Because of what,
the Lord has done, for us

posted by DreambigHouse
2010. 10. 8. 12:55 세계를 우리 품 안에

좌와 우가 없이 우리가 하나 되게 하소서
남과 북이 없이 우리가 하나 되게 하소서

가난과 부를 뛰어넘어 우리가 하나되게 하소서
지식과 무를 뛰어넘어 우리가 하나되게 하소서

과거의 상처로 자유롭게 서로 사랑하게 하소서
생명의 가치로 자유로와 서로 사랑하게 하소서

그리하여,
세계시민으로, 우리가 하나되게 하소서
posted by DreambigHouse
2010. 10. 8. 12:50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가을의 기도 - 김현승 시)

낙엽들이 지는 때를 기다리며
내게 주신 겸허한 모국어로 나를 채우소서
가을에는 사랑하게 하소서
오직 한 사람을 택하게 하소서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한 시간을 가꾸게 하소서
가을에는 홀로있게 하소서
나의 영혼이 굽이치는 바다와 백합의 골짜기 지나
마른 나무가지 위에 다다른 까마귀 같이
posted by DreambigHouse

미국에 온지 한 달

2010년 10월 7일

 여기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에 온지 딱 1달이 되었습니다. 10년 가까이 미국생활을 한 어떤 분은 ‘“적응”이라는 것은 10년이 지나도 안 되는 것 같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적응’이라는 말을 쉽사리 선택하기가 걱정됩니다. 그래도 이제 초라하게만 느껴지던 제가 사는 곳이 조금씩 아름답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오래된 화장실과 부엌이 이제는 친숙하고 이쁘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옆 방과 아랫방에 흑인 친구들과 연로하신 건물 내 흑인 할아버지들이 조금씩 친숙하게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이제는 악수도 하고 포옹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포레스트공원(Forest Park)에서는 지난 주 금요일 한국전쟁 참전용사분들이 모여서 기념비를 세우며, 그때의 아픔을 회상하는 행사가 있었습니다. 과거의 역사를 절대 잊지 말자는 의미이기도 하며,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며, 피를 주고 뼈를 깎아서 바꾼 것임을, 이 먼 곳 미국의 중부 한가운데, 세인트루이스라는 도시의 공원에서 있었다라는 것이 조금은 놀라웠다. 공산군에 의해서 포위되어 먹을 것 없이 황량한 산 한복판에 있을 때, 미군 비행기에서 검은 젤과 같은 비상 생존 음식을 투하한 것을 회상하며, 이날 그것을 만들며 60년 전을 회상했다.

어떤 사람들은 미국의 심장부는 워싱턴DC라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수도가 있고, 백악관과 팬타곤이 있기에 당연한 주장이라 생각한다. 또한 혹자는 뉴욕이 미국의 심장부라고 한다. 경제 논리에 따른 것으로 911폭파 사건 때도, 미국의 심장부를 강타했다고 언론이 집중보도한 데서 쉽게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을 듯 하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하버드대학이 있는 보스턴이 미국의 심장부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미국의 중심은 캔사스나 미주리 주가 미국의 중심부 즉 미국의 심장이라할 수 있다. 미국의 깊숙한 한복판 심장부에 “피를 주고 바꾼 자유”라는 한국의 기억을 심어놓겠다라는 우리 어르신들의 마음을 나는 읽을 수 있었다. 나에게 자유란 것은 어떠한 것인가?

어제 저녁 7시에는 특별한 행사가 여기 워싱턴대학교 로스쿨에서 있었다. 그것은 바로 “입양”에 대한 간담회였다. 많은 로스쿨 학생들은 중간고사 준비 때문에 바빠서 인지 30명 가까이만 참여를 했다. 그래도 관심있는 사람들끼리는 미리 사전에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이 행사에 참여하려는 분위기가 있었다. 나는 두명의 사람들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다. 첫 번째는 내가 참여하고 있는 “달리기모임(running club)"의 리더 레베카(Rebecca)에게서 전체 이메일로 나에게 이 행사를 알려주었다. 그리고 성경공부를 같이 하고 있는 실비아(sylvia)로부터 이메일을 또 받았다.

2002년부터 입양에 관심을 갖고, 자원봉사와 직간접적으로 일을 돕기도 하고, 또한 1년 동안은 해외 한국입양인들과 해외입양인들만을 위한 숙소에서 같이 먹고 자며, 그들의 버림받음에 대한 아픔과 상처를 익히 잘 아는 나로서는, 이 미국에서 입양을 바라보는 시선을 느끼고 싶었다. 그 핵심은 역시 “정체성”에 대한 물음이 한 가운데 있었다. 이 행사는 가족법으로 미국 전역에서 명성이 자자한 애플턴(Appleton)교수가 주최한 것으로 조금은 파격적인 간담회를 만들었다.

텍사스의 한 입양기관으로부터 흑인(African-American)을 생후 6개월의 어린아이를 입양한 백인의 한 부인을 초청했고, 그리고 과테말야에서 국제입양을 한 중년의 게이 남자였다. 직업은 변호사라고 했다. 그리고 러시에서 미국으로 입양되어 와서 로스쿨을 졸업하고 변호사로 일하고 있는 40대의 입양인이 참석을 했다. 간담회의 3분의 2는 영화를 한편 보는 것으로 진행이 되었고, 이 영화에 대한 의견과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함으로 나머지 시간을 진행했다.

영화의 대강의 줄거리는 이랬다. 한 흑인 아이가 백인의 홀 어머니에게 입양이 되었다. 그리고 아이가 대학에 들어갈 무렵에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을 하며, 친어머니를 찾기 시작한다. 양어머니와의 갈등이 생기기도 하고, 스스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많은 갈등이 생기기 시작한다. 양어머니는 이 무렵 자신이 레즈비언인 것을 알리며, 좋아하는 여성과 결혼을 한다. 그러나 이 어머니는 몇 년 전 한국에서 입양한 어린 남자아이가 한 명 또 있었다. 초점은 주로 흑인 입양인의 정체성과 친부모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갈등하는 데 맞춰져 있다. 그러면서도 독자들로 하여금 입양의 문제를 전반적으로 꼬집고 있다. 무엇이 올바른 입양인지에 대해서도 묻는 듯 했다.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어린 한국 아이에게 집중이 되는 것을 어찌할 수 없었다. 5살 쯤 되어 보이는 아주 귀여운 남자 아이였다. 아무리 오래되었다고 해도 2003년 혹은 2004년 쯤 입양 되었을텐데... 이 미국 땅으로... 그러면서 나는 친구 다니엘과 앤드류가 떠올랐다. 한 명은 잘 자랐고, 한 명은 힘들게 살고 있는 친구다. 한 친구는 독일에서 박사까지 끝내고 교수자리를 노리면서 버클리 대학에서 방문교수 자격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 친구는 며칠 전에 식당 웨이터 자리까지도 짤리게 되면서 일자리를 걱정하며 끼니를 걱정하는 처지에 놓인 경우다.

미국에서 가장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곳이 이 곳 중부 미주리 땅이라고 한다. 한편 미국의 제대로 된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고 한다. 프랑스에서 박해를 받고 이곳으로 많은 프랑스인들이 옛날에 넘어와서 지방 곳곳에서는 프랑스의 흔적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지금은 많이 오염이 되었다고하는 미시시피 강의 허클베리 핀의 모험(The Adventures of Huckleberry)과 톰소여의 모험(Adventures of Tom Sawyer)으로 유명한 마크 트웨인(Mark Twain)의 고향이 이곳 근처에 있다. 어디선가 허밍웨이가 미국의 문학은 마크 트웨인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는 내용을 본 적이 있다. 자유와 평등의 속 이야기의 시작이기 때문에 그럴지도 모른다. 문학으로 시작된 미국의 자유의 시작, 바로 이곳에서 꿈틀거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posted by DreambigHouse
2010. 9. 30. 12:49 세계를 우리 품 안에

워싱턴대학 의대 (우열이에게)

(미국 100대 의대 랭킹: 워싱턴대 3위)
http://www.legaled.com/medschool100.htm

(워싱턴대 의대 홈페이지)
http://medschool.wustl.edu/

하버드, 존스홉킨스, 워싱턴, 유펜, 미국 최고의 4개 의과대학
(워싱턴대 병원) http://emed.wustl.edu/ 

(입학정보)
http://www.medicalschoolsinusa.com/Washington_University_in_St_Louis_School_of_Medicine.html 

posted by DreambigHouse

       2010년 09월 17일(금)

미국에 온지 10일 정도가 되었다.
여기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라는 도시에 대해서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2주정도 늦게 수업에 들어와서, 밀린 수업을 따라가느라 정말 정신이 없었다. 수업시작하기 2-3달 전에 들어온 친구들도 수업을 따라가기 빡세다고 하는데, 나는 오죽하랴...

그러나 이제 10일이 지나고 2주가 가까워져가니, 대략 수업을 따라잡은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2주동안 주말 내내 학교에 혼자 남아서 밤 늦게까지 밀린 공부를 하니 대략 따라잡을 수 있었다.

학교에서는 공부를 엄청 시킨다. 읽어올 분량도 많고, 숙제도 많이 낸다. 내용을 읽어와도 수업시간에 버벅거리는데, 만약에 내용을 안 읽어오면 수업 전부터 수업이 끝나는 순간까지 안절부절하지 못하며 숨죽여 떨고 있어야한다.

여기 미국이라는 곳에서 새롭게 느끼고 배우는 것이 많다.
먼저, 여기 학교 캠퍼스 안에서는 절대 담배를 피울 수 없다. 건물에서뿐만 아니라 캠퍼스 안 어느곳에서건 담배를 절대 피울 수 없다. 캠퍼스 밖을 나가서만 담배를 피울 수 있다. 나이많은 분들이 몰래몰래 담배를 피울 법도 한데, 절대 담배피는 사람이 없다. 누가 보는 것도 아니고, 토요일이나 일요일 같은 경우에는 학교에 정말 사람도 별로 없는데, 그렇다고 담배를 피는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다. 흡연자들은 마치 하늘에서 누가 바라보는 것마냥 담배를 피우는 것을 무서워한다.

우리네 삶도 그랬으면 좋겠다. 옳은 것(the good) 그리고 바르고 선한 것(Justice)을 위해서 하늘에서 누군가가 바라보고 있다는 것마냥, 좋은 말과 생각 그리고 행동을 하면 좋겠다고 생각해보았다.

이것은 흡연자들의 담배만 그런 것이 아니다. 학교의 법대 도서관도 똑같다. 나는 여기 처음와서 도서관을 이용하면서, 가방에 책을 넣고 노트북을 항상 들고 다녔다. 이것을 본 친구가 하는 말이 도서관 안은 항상 안전하다면서 책은 물론이고 노트북도 그냥 두고 밥을 먹고 수업을 듣고 몇시간이고 후에 돌아와도 괜찮다는 것이었다. 나는 처음에는 조금 불안했다. 그래서 빨리 돌아와서 내 자리를 확인하곤 했다. 그러나 이제는 책은 물론이고 핸드폰이나 노트북 어떤 물건이건 도서관의 내 자리에 두고 나닌다. 그렇다고 여기 도서관에 감시카메라나 누가 지키고 있는 것도 아니다.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사람이 지키고 있는 것도 아닌데, 여기 법대 사람들은 누군가가 지켜보고 있는 것보다 더 엄격하다.

법대 수업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또한 표절에 대한 내용이다. 이것은 정직과 프로페서널함과도 연결된다고 강조한다. 로스쿨에서 표절을 한다는 것은 사회에서 자신을 격리시키는 격이 되며, 영구적으로 자신의 인생을 망치게 됨을 깨닫게 해준다. 표절이 의심되면 교수와 학생단이 구성이 되어 심사를 하고 교수는 자신의 재량으로 또다른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나중에 변호사시험 그리고 취업에서도 학장은 의견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끝까지 주홍글시처럼 평생 자신을 따라다니게 되는 것이 표절이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표절이라는 것은 글로 표현되는 숙제나 논문, 시험에서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 그리고 학문적인 일 및 활동과 프로그램 그리고 행사에 까지 두루 적용되며, 모든 부분에 있어서 “정직”해야 함을 알려주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 사람의 “의도”를 중시하며, 이는 단어를 축약한다거나 같은 내용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패러프레이징)도 표절임이 틀림없다고 강조한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자신의 생각에 영향을 준 것이라도 반드시 주석으로 달아서 언급해야한다. 표절은 다시 말해 삶에 대한 “반칙”(plagiarism also can be a violation)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것은 아너코드(Honer Code)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표절 다음으로 학교 기물을 훔치거나 숨기는 것 그리고 파손하는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서 책을 본 뒤 다른 사람이 볼 수 없게 숨겨두거나 비밀스런 곳에 두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한국 사람의 정직지수는 상당히 낮은 것 같다. 여기 미국에서도 표절에 대한 수업을 하면서 거론되는 대표적 케이스가 한국인이 미국에서 학위를 박탈당하고 직장에서도 쫒겨나고 미국대학을 졸업한 학교에 사과문을 게재한 이야기를 크게 다루니 말이다. 심지어 20년 전에 표절한 논문을 찾아서 39명에게 조치를 취한 것도 유명하다.

이 도시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학교 캠퍼스다. 캠퍼스에서도 가장 안전한 곳은 도서관이다. 도서관에서는 노트북을 편하게 두고 가도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핸드폰이며 심지어 지갑까지 자신이 공부하고 있는 자리에 두고 다니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처음에 나는 이해하지 못했다. 한국에서는 워낙 도서관에서 분실사고가 많이 나기 때문에 노트북을 두고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기에 더욱 그랬다. 친구들은 나에게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그렇다고 cctv가 있는 것도 아니고, 사람이 지키고 있는 사람도 전혀 없다. 안전한 이유를 물어보면 이렇게 대답한다. “법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만약에 도둑질을 하면 학교에서 영구히 제명당한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 간단한 이유만으로 도서관은 아주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된 것 같다. 한국과는 비교할 수 없는 모습이다.

posted by DreambigHouse

안녕하세요? 박희정입니다. 미국으로 입국한 뒤, 인사가 늦었습니다. 저는 여기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의 워싱턴대학에, 잘 도착해서 잘 적응하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저는 지난 9월 4일(토) 서울을 떠나 여기 세인트루이스에 잘 도착했습니다. 도착했을때는 이미 수업이 벌써 2주 진행된 상태여서 정말 정신이 없었습니다.
이제 조금씩 수업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매일 엄청나게 읽어야하는 판례와 써서 제출해야하는 숙제들이 정말 많습니다.

수업시간에는 교수가 학생들을 지명해서 질문을 하는데, 그린필드교수님의 어떤 과목에서는 학생이 우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빡세게 질문을 합니다. 그래도 사실 학교공부는 정말 재미있습니다.첫학기에 의무적으로 들어야하는 수업 외에 선택과목으로 회사법(Corporations)과 대체분쟁(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선택했습니다.

회사법 교수님은 charles w. burson(찰스 벌슨)이라는 교수님입니다. 미국 미시간대학에서 학부를 영국 캠브리지대학에서 석사를, 그리고 하버드대학에서 로스쿨을 했습니다.
(참고:
http://www.wulaw.wustl.edu/faculty_profiles/index.asp?id=5705)

회사법에 정통하기도 하지만, 정치생활을 더많이 하신 분입니다. 백악관에서 대통령 수석비서를 지내기도 했고, 앨고어 부통령과도 30년지기 절친한 친구로 유명합니다. (참고:
http://www.politicalfriendster.com/showPerson.php?id=3494&name=Charles-W-Burson) (참고: http://www.politicalfriendster.com/showConnection.php?id1=3494&id2=87)

사는 곳은 며칠 전에 교회에서 소개받은 승택형네서 신세를 지다가, 새로운 거처를 구했습니다. 학교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구했습니다.
학교 근처라, 밤에는 위험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살만한 곳입니다.

한국에서 자취하고 하숙할 때와는 많이 달랐습니다. 방은 텅빈 방 그 자체였습니다. 정말 방에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침대와 이불도 사야하고, 꼭 필요한 생필품들을 미리 사야했습니다.

늦게 와서 방을 구하기가 힘들었는데 정말 다행이었습니다. 학교근처여서 좀 위험해서인지 한달에 550불에 저렴하게 괜찮은 방을 구했습니다. 왼쪽 오른쪽 옆방에 모두 흑인이 살고 있습니다. 사실 매일 집에 들어갈 때 살짝 겁이 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다 좋은 데 방의 주방에서 가스냄새가 계속 나는 것이 좀 걸리기도 합니다.

여기 워싱턴대학교는 치안이 상당히 안좋은 것 같습니다. 들은 바에 따르면 미국 전역에서 범죄율 1위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특히 학교근처가 많이 위험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한국학생들은 학교에서 차로 2-30분 떨어진 곳에 삽니다.
지난 달에 학교근처 스타벅스 커피숍에서 경찰이 흑인의 총에 맞어 죽은 일이 있을 정도니까요.

특히, 여기서는 차가 없으면 빵 하나 사기도 힘든 거 같습니다. 그래서 항상 차를 태워달라고 부탁하는 일이 많습니다. 다음에는 또 누구에게 부탁할까하며 차 있는 친구들과는 반드시 친해져야 생존할 수 있는 거 같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 생활도 이제 잘 적응해가며 잘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화도 개통했습니다. 인터넷도 곧 설치할까 합니다.

며칠 전에는 버클리 대학에 연구학자(방문교수: visiting scholar)로 연구하고 있는, 친한 친구인 한국입양인 다니엘과 또한 애틀란타에 있는 입양인친구 앤드류와도 통화를 했습니다.
힘내라며 다들 많이 격려해주는 참 좋은 친구들입니다.

또한 아직 모든 것이 해결된 것이 아닌 상태라 많이 불안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10월부터는 슬슬 교내 아르바이트와 일자리를 알아볼까 합니다.
교회는 세인트루이스한인장로교회에 다니고 있습니다. 서정곤 담임목사님이 목회를 하시며, 박현신 목사(청년담당)님과 친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교회에서 매주 토요일 새벽예배와 성경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여기 워싱턴대학교 로스쿨 한국인 모임도 이제 활성화 되려 합니다. 한국인 로스쿨학생이 총 30명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워싱턴 대 전체 한국인은 200명 정도 될듯합니다. 서로를 위해주고, 다들 열심히 합니다.
밤늦게 도서관에 있으면 구석구석에 자리를 잡고 끝까지 있는 사람들은 항상 한국인들이니까요.

저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꿈이기도 하지만, 또한 조국 대한민국의 통일에 대한 꿈이기도 한, 또한 기적이 필요하기도 한, 큰 꿈을 갖고 있습니다. 법조인으로 통일 정부에 기여하고 싶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제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래서 작은 어려움이 있거나, 학교수업이 힘들고 해도, 웃으며 아무것도 아닌양 이겨낼 수 있습니다.
자주 소식전하고 연락드리겠습니다.

세인트루이스에서
박희정 올림

posted by DreambigHouse



상쾌한 이른 아침, 룰루랄라~ 아침 일찍 집을 나서며 흥얼흥얼 휘파람까지 절로 나오는 날이 있다. 그런데 갑자기 내 앞에 걸어가는 사람이 담배 연기를 연거푸 뿜어낼 치라면 살짝 하루의 시작이 삐그덕 거릴 지도 모른다. 신나게 하루를 시작하면서, 오늘은 만나는 사람들에게 마다 활짝 웃는 미소만을 보여주리라, 진심으로 가슴으로 폭 품어 안아주리라 시작한 하루가, 전철에서 수많은 사람들에 섞여 옆 사람의 툭치는 팔에 그리고 거세게 지나치며 부딪치는 어깨에 자연스레 화가 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나의 감정을 통제하는 나 스스로의 방법을 자연스레 터득한 것이 있다. 나를 보호하기 위한 본능에 가까운 것이 된 지 오래다.

이런 활기차고 유쾌한 아침에, 안 좋은 일이 생길 때면 나는 나에게 스스로 최면을 건다. ‘하나의 좋은 일의 징조’라고 스스로에게 말을 한다.

누군가가 나를 세게 부딪치고 미안하다는 말도 없이 휙 지나갈 때면, 나의 팔을 툭 치거나 하는 것 혹은 사람이 아니더라도 어떤 사건과 사물에 의해 기분이 상하게 될 때라치면, 나는 곧바로 본능에 가까운 속도로 ‘좋은 일이 큰 복이 나에게 다가오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야' 하면서 그냥 유쾌하기 넘기고 만다. 나는 그 일들을 좋게 해석해 버린다. 그리고 미소 지으며 웃고 넘긴다. 어차피 화를 내고 기분 상해봤자 나만 손해 아니겠는가.

힘들 때도 마찬가지다. 힘들 때도 나는 '이것이 나를 더 강하게 하려고 나를 더 완벽하게 만들려고 이러는구나'하고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어차피 힘들다고 투덜거려봤자, 어차피 힘들다고 삶을 비관해봤자 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삶이란 것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투덜거리면 나만 손해라는 것을 나는 잘 안다. 그러니 그냥 긍정적으로 해석해버리고 그냥 웃어넘기고 묵묵히 나아갈 뿐이다.

나는 많이도 실패해봤다. 머리가 나쁘고 실력이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도전이 많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래서 왠만해선 좌절하지 않는다. 그래서 왠만한 것으로 좌절하고 그러지 않는다. 그리고 좌절할라치면 또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려고하는 나의 본능은 그 동안의 많은 좌절을 통해 배운 것인지도 모르겠다. 

나의 감정과 정신 그리고 혼과 영을 관리하는 방법을 조금씩 터득해가고 있다. 그러나 때론 남의 것을 통제하기란 쉽지 않다는 것을 나는 잘 안다. 관리 차원의 경영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나의 삶의 소명이 '아파 눈물 흘리는 자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일'을 하는 것이라고 대학을 졸업하면서 굳히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요즘 들어 더욱더 실감하는 것 같다. 이는 남을 도와주는 자원봉사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입양인들을 위한 봉사를 하면서 1년을 동거동락하며 그들을 위해 눈물 흘리며 기도를 했고,
나의 시간과 물질을 쪼개어가면서, 때로는 내가 힘들 때조차도 그들이 먼저라며 헌신봉사 하기도 했다. 

상대가 말 못하고 정신과 사고가 온전치 못하더라도 아무도 모르게 도와야 할 때가 있었다.
같이 눈물 흘렸다. 그리고 나서 그 다음날엔 내가 아파 몸져 누워야했다. 그리고는 ‘내가 뭘하고 있나’하고 나를 뒤돌아볼 때가 있다.

진정으로 '아파 눈물 흘리는 약자들의 눈물을 닦아 주는 일'은,
자기를 이기고
극기(克己)한 자만이
자기를 끊임없이 사랑하는
애기(愛己)한 자만이
과거의 자신과 상처를 회복한 자만이

진정 같이 울 수 있고,
그들의 눈물을 닦아 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posted by DreambigHouse

상처로부터의 자유

- 큰 꿈 -

우리 모두에게는 크게 작게 상처가 있다.

예쁜 사람은 예쁜 대로 상처가
그렇지 않으면 그렇지 않은 대로 상처가 있다.

남자는 남자의 방식으로 상처가
여자는 여자의 방식으로 상처가 있다.

이것은 때로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이뻐서 성추행의 형태로,
공부는 잘 하나 힘이 없어 이지메와 공공연한 폭행의 형태로

많은 남자들은 군대를 경험한 것이 일반적이다.
군대를 경험하기 전 어릴 적 남자 아이들은 힘의 세계를 경험한다.

‘있는 힘껏 가슴을 향해 다가온 동네 형들의 일격은 마치 내 몸이 권투선수들의 샌드백 신세이었으며, 매일 내 볼에 불이 나는 듯한 선생님의 그 손놀림은 내 정신을 끔찍하게 만든다.’

누구에게나 상처는 있다.
이것이 어릴 때의 것이라치면 가히 칸트의 말처럼,
‘굽게 자라기 시작한 나무의 가지를 펴기란 결코 쉽지 않다’는 말에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Out of timber so crooked as that from which man is made nothing entirely straight can be carved.” -Immanuel Kant-)

그래서 특히 어린 아이들의 상처는 조심스럽다.
그래서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사랑과 관심 그리고 칭찬이 필요하다.
그래서 다 자란 우리들에게는 더더욱 큰 사랑이 필요한지 모른다.

사랑이 아니고서야 굽은 가지를 펼 수는 없을 것이며,
사랑이 아니고서야 받은 상처를 치유해 전인적인 인간으로 바른 정서와 감정의 사람으로 살아가기는 정말 힘들기 때문이다. 치유되지 않은 그 상처란 것은 어떤 형태로든 상황만 맞아떨어지면 드러나기 마련이기에 말이다. 그 상처란 굽은 가지는 사랑의 붕대로 믿음이란 연고로 유일하게 치유하여 곧게 할 수 있기에 우리 모두에게 그 사랑과 믿음이 필요하다.

성경구절로도 유명한 과거 우리 선배들이 즐겨 불렀다던 ‘사랑송’으로 알려진 이 노래가 떠오른다.

‘사랑은 언제나 오래참고 사랑은 언제나 온유하며
사랑은 시기하지 않으며 자랑도 교만도 아니하며
사랑은 무례히 행치않고 자기의 유익을 구치않고
사랑은 성내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네
사랑은 모든것 감싸주고 바라고 믿고 참아내며
사랑은 영원토록 변함없네


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이세상 끝까지 영원하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중에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사랑은 모든것 감싸주고 바라고 믿고 참아내며
사랑은 영원토록 변함없네  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이세상 끝까지 영원하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중에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posted by DreambigHouse
prev 1 2 3 next